화학 용액의 정상 농도 계산기
용질의 중량, 등가 중량 및 부피를 입력하여 화학 용액의 정상 농도를 계산합니다. 분석 화학, 적정 및 실험실 작업에 필수적입니다.
정상도 계산기
공식
정상도 = 용질의 무게 (g) / (당량 무게 (g/eq) × 용액의 부피 (L))
결과
정상도:
유효한 값을 입력하세요
계산 단계
계산 단계를 보려면 유효한 값을 입력하세요
시각적 표현
용질
10 g
당량 무게
20 g/eq
부피
0.5 L
정상도
—
용액의 정상도는 용질의 무게를 당량 무게와 용액의 부피의 곱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문서화
화학 용액의 노말리티 계산기
소개
노말리티 계산기는 용액의 농도를 리터당 그램 당량으로 결정하는 데 필요한 필수 도구입니다. 노말리티(N)는 용질의 그램 당량이 용액의 리터당 얼마나 용해되었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화학 반응에서 화학량론적 관계가 중요한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 분자를 세는 몰농도와 달리, 노말리티는 반응 단위를 세어 주며, 이는 산-염기 적정, 산화환원 반응 및 침전 분석을 분석하는 데 특히 가치가 있습니다. 이 포괄적인 가이드는 노말리티를 계산하는 방법, 그 응용 프로그램 및 화학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계산기를 제공합니다.
노말리티란 무엇인가?
노말리티는 용액의 리터당 용질의 그램 당량 수를 표현하는 농도의 척도입니다. 노말리티의 단위는 리터당 당량(eq/L)입니다. 하나의 당량은 산-염기 반응에서 하나의 몰의 수소 이온(H⁺)과 반응하거나 공급할 수 있는 물질의 질량, 산화환원 반응에서 하나의 몰의 전자를 공급할 수 있는 물질의 질량, 또는 전기화학 반응에서 하나의 몰의 전하를 제공하는 물질의 질량입니다.
노말리티의 개념은 화학자들이 실제 화합물과 관계없이 서로 다른 용액의 반응 능력을 직접 비교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특히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1N 산 용액은 특정 산이나 염기와 관계없이 정확히 동일한 양의 1N 염기 용액을 중화합니다.
노말리티 공식 및 계산
기본 공식
용액의 노말리티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여기서:
- N = 노말리티 (eq/L)
- W = 용질의 무게 (그램)
- E = 용질의 당량 무게 (그램/당량)
- V = 용액의 부피 (리터)
당량 무게 이해하기
당량 무게(E)는 반응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 산의 경우: 당량 무게 = 분자량 ÷ 대체 가능한 H⁺ 이온 수
- 염기의 경우: 당량 무게 = 분자량 ÷ 대체 가능한 OH⁻ 이온 수
- 산화환원 반응의 경우: 당량 무게 = 분자량 ÷ 전달된 전자 수
- 침전 반응의 경우: 당량 무게 = 분자량 ÷ 이온의 전하
단계별 계산
용액의 노말리티를 계산하려면:
- 용질의 무게를 그램으로 결정합니다 (W)
- 용질의 당량 무게를 계산합니다 (E)
- 용액의 부피를 리터로 측정합니다 (V)
- 공식을 적용합니다: N = W/(E × V)
이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
우리의 노말리티 계산기는 화학 용액의 노말리티를 결정하는 과정을 단순화합니다:
- 용질의 무게를 그램으로 입력합니다
- 용질의 당량 무게를 그램당량으로 입력합니다
- 용액의 부피를 리터로 지정합니다
- 계산기는 자동으로 노말리티를 리터당 당량(eq/L)으로 계산합니다
계산기는 모든 입력이 양수인지 실시간으로 검증하여, 당량 무게나 부피에 대해 음수 또는 제로 값을 입력하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농도가 발생합니다.
결과 이해하기
계산기는 노말리티 결과를 리터당 당량(eq/L)으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2.5 eq/L의 결과는 용액이 리터당 2.5 그램 당량의 용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맥락을 위해:
- 낮은 노말리티 용액 (<0.1N)은 희석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 중간 노말리티 용액 (0.1N-1N)은 실험실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높은 노말리티 용액 (>1N)은 농축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농도 단위 비교
농도 단위 | 정의 | 주요 사용 사례 | 노말리티와의 관계 |
---|---|---|---|
노말리티 (N) | 리터당 당량 | 산-염기 적정, 산화환원 반응 | - |
몰농도 (M) | 리터당 몰 | 일반 화학, 화학량론 | N = M × 당량당 몰 |
몰랄농도 (m) | 용매 1kg당 몰 | 온도 의존 연구 | 직접 변환 불가 |
질량 % (w/w) | 용질의 질량 / 총 질량 × 100 | 산업 제형 | 밀도 정보 필요 |
부피 % (v/v) | 용질의 부피 / 총 부피 × 100 | 액체 혼합물 | 밀도 정보 필요 |
ppm/ppb | 백만/십억 분율 | 미량 분석 | N = ppm × 10⁻⁶ / 당량 무게 |
사용 사례 및 응용 프로그램
노말리티는 다양한 화학 응용 프로그램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실험실 응용
-
적정: 노말리티는 산-염기 적정에서 특히 유용하며, 여기서 동등점은 산과 염기가 동등한 양으로 반응할 때 발생합니다. 노말리티를 사용하면 동일한 노말리티의 용액이 동일한 부피에서 서로 중화되기 때문에 계산이 간단해집니다.
-
용액의 표준화: 분석 화학에서 표준 용액을 준비할 때 노말리티는 반응 능력 측면에서 농도를 표현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
품질 관리: 제약 및 식품 산업에서는 노말리티를 사용하여 반응 성분의 정확한 농도를 유지하여 일관된 제품 품질을 보장합니다.
산업 응용
-
수처리: 노말리티는 물 정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염소 처리 및 pH 조정에 사용됩니다.
-
전기도금: 전기도금 산업에서는 노말리티가 도금 용액에서 금속 이온의 올바른 농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배터리 제조: 배터리의 전해질 농도는 종종 노말리티로 표현되어 최적의 성능을 보장합니다.
학술 및 연구 응용
-
화학 동역학: 연구자들은 반응 속도 및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노말리티를 사용하며, 특히 반응 부위 수가 중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환경 분석: 노말리티는 오염 물질을 정량화하고 처리 요구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환경 테스트에서 사용됩니다.
-
생화학 연구: 생화학에서 노말리티는 효소 분석 및 기타 생물학적 반응을 위한 용액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노말리티의 대안
노말리티는 많은 맥락에서 유용하지만,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농도 단위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몰농도 (M)
몰농도는 용액의 리터당 용질의 몰 수를 정의합니다. 화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도 단위입니다.
노말리티 대신 몰농도를 사용할 때:
- 화합물의 분자 공식에 기반한 화학량론이 관련된 반응을 다룰 때
- 현대 연구 및 출판물에서 노말리티가 대체된 경우
- 당량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반응에서 작업할 때
노말리티와 몰농도 간의 변환: N = M × n, 여기서 n은 몰당 당량 수입니다.
몰랄농도 (m)
몰랄농도는 용매 1kg당 용질의 몰 수를 정의합니다. 온도 변화가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에 특히 유용합니다.
노말리티 대신 몰랄농도를 사용할 때:
- 집합적 성질(비등점 상승, 동결점 하강)을 연구할 때
-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작업할 때
- 열 팽창에 관계없이 농도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할 때
질량 백분율 (% w/w)
질량 백분율은 농도를 용질의 질량을 용액의 총 질량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표현합니다.
노말리티 대신 질량 백분율을 사용할 때:
- 부피 측정보다 무게 측정이 더 실용적인 산업 환경에서
- 매우 점성이 높은 용액에서 작업할 때
- 식품 및 제약 제형에서
부피 백분율 (% v/v)
부피 백분율은 용질의 부피를 용액의 총 부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표현합니다.
노말리티 대신 부피 백분율을 사용할 때:
- 액체와 액체의 용액(예: 알콜 음료)에 대해
- 부피가 가산 가능한 경우(항상 그런 것은 아님)
백만 분율 (ppm) 및 십억 분율 (ppb)
이 단위는 매우 희석된 용액에 사용되며, 용액의 백만 또는 십억 부분당 용질의 수를 표현합니다.
노말리티 대신 ppm/ppb를 사용할 때:
- 환경 샘플에서 미량 분석을 수행할 때
- 노말리티가 매우 작은 숫자를 초래할 때 매우 희석된 용액에서 작업할 때
화학에서 노말리티의 역사
노말리티 개념은 분석 화학의 발전에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초기 개발 (18세기-19세기)
정량 분석의 기초는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조셉 루이 게이뤼삭과 같은 과학자들에 의해 마련되었습니다. 그들의 화학량론 및 화학 당량에 대한 연구는 물질이 정해진 비율로 반응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기초를 제공했습니다.
표준화 시대 (19세기 후반)
노말리티의 공식 개념은 분석 목적을 위해 농도를 표현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찾으려는 화학자들에 의해 19세기 후반에 등장했습니다. 물리 화학의 선구자인 빌헬름 오스트발드는 노말리티의 발전과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분석 화학의 황금기 (20세기 초-중반)
이 기간 동안 노말리티는 특히 부피 분석 절차에서 표준 농도 단위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시기의 교과서와 실험실 매뉴얼에서는 산-염기 적정 및 산화환원 반응과 관련된 계산에서 노말리티를 광범위하게 사용했습니다.
현대의 전환 (20세기 후반-현재)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맥락에서 노말리티에서 몰농도로의 점진적인 전환이 있었습니다. 이는 현대가 분자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복잡한 반응에 대한 당량 무게의 모호한 성격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노말리티는 특정 분석 응용 프로그램, 특히 산업 환경 및 표준화된 테스트 절차에서 여전히 중요합니다.
예제
다음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노말리티를 계산하는 코드 예제입니다:
1' Excel에서 노말리티 계산을 위한 공식
2=weight/(equivalent_weight*volume)
3
4' 셀에 값이 있는 예
5' A1: 무게 (g) = 4.9
6' A2: 당량 무게 (g/eq) = 49
7' A3: 용액의 부피 (L) = 0.5
8' A4에 있는 공식:
9=A1/(A2*A3)
10' 결과: 0.2 eq/L
11
1def calculate_normality(weight, equivalent_weight, volume):
2 """
3 용액의 노말리티를 계산합니다.
4
5 매개변수:
6 weight (float): 용질의 무게 (그램)
7 equivalent_weight (float): 용질의 당량 무게 (그램/당량)
8 volume (float): 용액의 부피 (리터)
9
10 반환:
11 float: 리터당 노말리티
12 """
13 if equivalent_weight <= 0 or volume <= 0:
14 raise ValueError("당량 무게와 부피는 양수여야 합니다.")
15
16 normality = weight / (equivalent_weight * volume)
17 return normality
18
19# 예: H2SO4 용액의 노말리티 계산
20# 9.8 g의 H2SO4가 2 리터의 용액에 있음
21# H2SO4의 당량 무게 = 98/2 = 49 g/eq (2개의 대체 가능한 H+ 이온이 있으므로)
22weight = 9.8 # 그램
23equivalent_weight = 49 # 그램/당량
24volume = 2 # 리터
25
26normality = calculate_normality(weight, equivalent_weight, volume)
27print(f"노말리티: {normality:.4f} eq/L") # 출력: 노말리티: 0.1000 eq/L
28
1function calculateNormality(weight, equivalentWeight, volume) {
2 // 입력 검증
3 if (equivalentWeight <= 0 || volume <= 0) {
4 throw new Error("당량 무게와 부피는 양수여야 합니다.");
5 }
6
7 // 노말리티 계산
8 const normality = weight / (equivalentWeight * volume);
9 return normality;
10}
11
12// 예: NaOH 용액의 노말리티 계산
13// 10 g의 NaOH가 0.5 리터의 용액에 있음
14// NaOH의 당량 무게 = 40 g/eq
15const weight = 10; // 그램
16const equivalentWeight = 40; // 그램/당량
17const volume = 0.5; // 리터
18
19try {
20 const normality = calculateNormality(weight, equivalentWeight, volume);
21 console.log(`노말리티: ${normality.toFixed(4)} eq/L`); // 출력: 노말리티: 0.5000 eq/L
22} catch (error) {
23 console.error(error.message);
24}
25
1public class NormalityCalculator {
2 /**
3 * 용액의 노말리티를 계산합니다.
4 *
5 * @param weight 용질의 무게 (그램)
6 * @param equivalentWeight 용질의 당량 무게 (그램/당량)
7 * @param volume 용액의 부피 (리터)
8 * @return 리터당 노말리티
9 * @throws IllegalArgumentException 당량 무게 또는 부피가 양수가 아닐 경우
10 */
11 public static double calculateNormality(double weight, double equivalentWeight, double volume) {
12 if (equivalentWeight <= 0 || volume <= 0) {
13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당량 무게와 부피는 양수여야 합니다.");
14 }
15
16 return weight / (equivalentWeight * volume);
17 }
18
1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0 // 예: HCl 용액의 노말리티 계산
21 // 7.3 g의 HCl이 2 리터의 용액에 있음
22 // HCl의 당량 무게 = 36.5 g/eq
23 double weight = 7.3; // 그램
24 double equivalentWeight = 36.5; // 그램/당량
25 double volume = 2.0; // 리터
26
27 try {
28 double normality = calculateNormality(weight, equivalentWeight, volume);
29 System.out.printf("노말리티: %.4f eq/L%n", normality); // 출력: 노말리티: 0.1000 eq/L
30 } catch (IllegalArgumentException e) {
31 System.err.println(e.getMessage());
32 }
33 }
34}
35
1#include <iostream>
2#include <iomanip>
3#include <stdexcept>
4
5/**
6 * 용액의 노말리티를 계산합니다.
7 *
8 * @param weight 용질의 무게 (그램)
9 * @param equivalentWeight 용질의 당량 무게 (그램/당량)
10 * @param volume 용액의 부피 (리터)
11 * @return 리터당 노말리티
12 * @throws std::invalid_argument 당량 무게 또는 부피가 양수가 아닐 경우
13 */
14double calculateNormality(double weight, double equivalentWeight, double volume) {
15 if (equivalentWeight <= 0 || volume <= 0) {
16 throw std::invalid_argument("당량 무게와 부피는 양수여야 합니다.");
17 }
18
19 return weight / (equivalentWeight * volume);
20}
21
22int main() {
23 try {
24 // 예: KMnO4 용액의 노말리티 계산 (산화환원 적정용)
25 // 3.16 g의 KMnO4가 1 리터의 용액에 있음
26 // KMnO4의 당량 무게 = 158.034/5 = 31.6068 g/eq (산화환원 반응용)
27 double weight = 3.16; // 그램
28 double equivalentWeight = 31.6068; // 그램/당량
29 double volume = 1.0; // 리터
30
31 double normality = calculateNormality(weight, equivalentWeight, volume);
32 std::cout << "노말리티: " << std::fixed << std::setprecision(4) << normality << " eq/L" << std::endl;
33 // 출력: 노말리티: 0.1000 eq/L
34 } catch (const std::exception& e) {
35 std::cerr << "오류: " << e.what() << std::endl;
36 }
37
38 return 0;
39}
40
1def calculate_normality(weight, equivalent_weight, volume)
2 # 입력 검증
3 if equivalent_weight <= 0 || volume <= 0
4 raise ArgumentError, "당량 무게와 부피는 양수여야 합니다."
5 end
6
7 # 노말리티 계산
8 normality = weight / (equivalent_weight * volume)
9 return normality
10end
11
12# 예: 옥살산(H2C2O4) 용액의 노말리티 계산
13# 6.3 g의 옥살산이 1 리터의 용액에 있음
14# 옥살산의 당량 무게 = 90/2 = 45 g/eq (2개의 대체 가능한 H+ 이온이 있으므로)
15weight = 6.3 # 그램
16equivalent_weight = 45 # 그램/당량
17volume = 1.0 # 리터
18
19begin
20 normality = calculate_normality(weight, equivalent_weight, volume)
21 puts "노말리티: %.4f eq/L" % normality # 출력: 노말리티: 0.1400 eq/L
22rescue ArgumentError => e
23 puts "오류: #{e.message}"
24end
25
수치 예제
예제 1: 황산 (H₂SO₄)
주어진 정보:
- H₂SO₄의 무게: 4.9 그램
- 용액의 부피: 0.5 리터
- H₂SO₄의 분자량: 98.08 g/mol
- 대체 가능한 H⁺ 이온 수: 2
1단계: 당량 무게 계산 당량 무게 = 분자량 ÷ 대체 가능한 H⁺ 이온 수 당량 무게 = 98.08 g/mol ÷ 2 = 49.04 g/eq
2단계: 노말리티 계산 N = W/(E × V) N = 4.9 g ÷ (49.04 g/eq × 0.5 L) N = 4.9 g ÷ 24.52 g/L N = 0.2 eq/L
결과: 황산 용액의 노말리티는 0.2N입니다.
예제 2: 수산화 나트륨 (NaOH)
주어진 정보:
- NaOH의 무게: 10 그램
- 용액의 부피: 0.5 리터
- NaOH의 분자량: 40 g/mol
- 대체 가능한 OH⁻ 이온 수: 1
1단계: 당량 무게 계산 당량 무게 = 분자량 ÷ 대체 가능한 OH⁻ 이온 수 당량 무게 = 40 g/mol ÷ 1 = 40 g/eq
2단계: 노말리티 계산 N = W/(E × V) N = 10 g ÷ (40 g/eq × 0.5 L) N = 10 g ÷ 20 g/L N = 0.5 eq/L
결과: 수산화 나트륨 용액의 노말리티는 0.5N입니다.
예제 3: 과망간산칼륨 (KMnO₄) 산화환원 적정을 위한
주어진 정보:
- KMnO₄의 무게: 3.16 그램
- 용액의 부피: 1 리터
- KMnO₄의 분자량: 158.034 g/mol
- 산화환원 반응에서 전달된 전자 수: 5
1단계: 당량 무게 계산 당량 무게 = 분자량 ÷ 전달된 전자 수 당량 무게 = 158.034 g/mol ÷ 5 = 31.6068 g/eq
2단계: 노말리티 계산 N = W/(E × V) N = 3.16 g ÷ (31.6068 g/eq × 1 L) N = 3.16 g ÷ 31.6068 g/L N = 0.1 eq/L
결과: 과망간산칼륨 용액의 노말리티는 0.1N입니다.
예제 4: 염화칼슘 (CaCl₂) 침전 반응을 위한
주어진 정보:
- CaCl₂의 무게: 5.55 그램
- 용액의 부피: 0.5 리터
- CaCl₂의 분자량: 110.98 g/mol
- Ca²⁺ 이온의 전하: 2
1단계: 당량 무게 계산 당량 무게 = 분자량 ÷ 이온의 전하 당량 무게 = 110.98 g/mol ÷ 2 = 55.49 g/eq
2단계: 노말리티 계산 N = W/(E × V) N = 5.55 g ÷ (55.49 g/eq × 0.5 L) N = 5.55 g ÷ 27.745 g/L N = 0.2 eq/L
결과: 염화칼슘 용액의 노말리티는 0.2N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노말리티와 몰농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몰농도 (M)**는 용액의 리터당 용질의 몰 수를 측정하는 반면, **노말리티 (N)**는 리터당 그램 당량 수를 측정합니다. 주요 차이점은 노말리티가 용액의 반응 능력을 고려하는 반면, 단순히 분자의 수만 세는 것입니다. 산과 염기의 경우, N = M × 대체 가능한 H⁺ 또는 OH⁻ 이온 수입니다. 예를 들어, 1M H₂SO₄ 용액은 2N입니다. 왜냐하면 각 분자가 두 개의 H⁺ 이온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화합물에 대해 당량 무게를 어떻게 결정하나요?
당량 무게는 반응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 산의 경우: 분자량 ÷ 대체 가능한 H⁺ 이온 수
- 염기의 경우: 분자량 ÷ 대체 가능한 OH⁻ 이온 수
- 산화환원 반응의 경우: 분자량 ÷ 전달된 전자 수
- 침전 반응의 경우: 분자량 ÷ 이온의 전하
노말리티가 몰농도보다 높을 수 있나요?
네, 노말리티는 분자당 여러 개의 반응 단위가 있는 화합물에 대해 몰농도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M H₂SO₄ 용액은 2N입니다. 왜냐하면 각 분자가 두 개의 대체 가능한 H⁺ 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동일한 화합물에 대해 노말리티는 절대적으로 몰농도보다 낮을 수 없습니다.
일부 적정에서 노말리티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노말리티는 용액의 반응 능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적정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동일한 노말리티의 용액이 반응할 때, 그들은 서로 중화되며, 이는 계산을 단순화합니다. 산-염기 적정, 산화환원 적정 및 침전 분석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온도 변화가 노말리티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온도 변화는 열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용액의 부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노말리티에 영향을 미칩니다. 노말리티는 당량당 리터로 정의되므로 부피의 변화는 노말리티를 변화시킵니다. 이 때문에 노말리티 값을 보고할 때 온도가 종종 명시됩니다.
모든 종류의 화학 반응에 노말리티를 사용할 수 있나요?
노말리티는 당량의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된 반응에서 가장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 및 침전 반응에서 사용됩니다. 반응 부위 수가 모호하거나 가변적인 복잡한 반응에서는 덜 유용합니다.
노말리티와 다른 농도 단위 간의 변환은 어떻게 하나요?
- 노말리티에서 몰농도로: M = N ÷ 몰당 당량 수
- 노말리티에서 몰랄농도로: 밀도 정보가 필요하며 직접 변환할 수 없습니다.
- 노말리티에서 질량 백분율로: 밀도 정보와 당량 무게가 필요합니다.
무게, 당량 무게 또는 부피에 음수 값을 사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무게, 당량 무게 또는 부피에 대한 음수 값은 용액 농도와 관련하여 물리적으로 의미가 없습니다. 계산기는 음수 값이 입력되면 오류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마찬가지로, 당량 무게나 부피에 대해 제로 값이 입력되면 0으로 나누는 오류가 발생하며 허용되지 않습니다.
노말리티 계산기의 정확도는 얼마나 되나요?
계산기는 대부분의 실험실 및 교육 목적에 충분한 네 자리 소수점의 정밀도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결과의 정확도는 입력 값, 특히 특정 반응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당량 무게의 정확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계산기를 다중 용질이 있는 용액에 사용할 수 있나요?
계산기는 단일 용질이 있는 용액에 대해 설계되었습니다. 다중 용질이 있는 용액의 경우, 각 용질의 노말리티를 별도로 계산한 다음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맥락을 고려하여 결합된 노말리티를 해석하는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
Brown, T. L., LeMay, H. E., Bursten, B. E., Murphy, C. J., & Woodward, P. M. (2017).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4th ed.). Pearson.
-
Harris, D. C. (2015).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9th ed.). W. H. Freeman and Company.
-
Skoog, D. A., West, D. M., Holler, F. J., & Crouch, S. R. (2013).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9th ed.). Cengage Learning.
-
Chang, R., & Goldsby, K. A. (2015). Chemistry (12th ed.). McGraw-Hill Education.
-
Atkins, P., & de Paula, J. (2014). Atkins' Physical Chemistry (10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
Christian, G. D., Dasgupta, P. K., & Schug, K. A. (2013). Analytical Chemistry (7th ed.). John Wiley & Sons.
-
"Normality (Chemistry)." Wikipedia, Wikimedia Foundation, https://en.wikipedia.org/wiki/Normality_(chemistry). Accessed 2 Aug. 2024.
-
"Equivalent Weight." Chemistry LibreTexts, https://chem.libretexts.org/Bookshelves/Analytical_Chemistry/Supplemental_Modules_(Analytical_Chemistry)/Quantifying_Nature/Units_of_Measure/Equivalent_Weight. Accessed 2 Aug. 2024.
지금 우리의 노말리티 계산기를 사용하여 화학 용액의 농도를 리터당 당량으로 빠르게 결정해 보세요. 적정용 용액 준비, 시약 표준화 또는 기타 분석 절차를 수행할 때 이 도구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피드백
이 도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려면 피드백 토스트를 클릭하세요.
관련 도구
귀하의 워크플로에 유용할 수 있는 더 많은 도구를 발견하세요.